독학사 자료를 마치고 10년 전 어렵사리 독학사를 마치고 나처럼 너무 힘들고 어렵게 공부할 후학들을 위해 내가 가지고 있는 문제를 몇 달에 걸쳐 타이핑해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글을 올려주고 개별로 보내주고 한 것들이 고스란히 컴에 저장돼 있었다. 그래서 내 블로그를 개설하고 첨엔 전공이던 비전.. 독학사자료 2012.12.26
국어 음운론5 1.국어의 상승적 중모음과 하강적 중모음에 대해 설명하시오. 국어 중모음의 대부분은 후부 음이 성절음으로 나타나는 상승적 중모음이다. 그리고 하강적 중모음은 /ɨy/ 하나뿐이며, 다른 중모음들과 고립되어 있기 때문에 매우 불안정한 음이다. 2.음소론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시오... 독학사자료 2012.12.25
국어 음운론4 1.음성의 최소단위는? 1)단음 2)음소 3)음운 4)음성 1) 2.말의 뜻을 분화하는 구실을 가진 변별적 대립의 소리의 연구와 그 체계에 관한 연구분야는? 1)음성학 2)음운론 3)어휘론 4)의미론 2) 3.음운의 최소단위는? 1)음성 2)음소 3)단음 4)소음 2) 4.음성설정에 있어서 조음방법에 기준한 변별적 자.. 독학사자료 2012.12.25
국어 음운론3 1.음성학의 분야가운데 가장 최근에 대두되기 시작한 것은? 3) 1)조음음성학 2)음향음성학 3)청음음성학 4)음운학 2.다음 중 공명기관이 아닌 것은? 1)인두 2)성대 3)비강 4)입술강 2) 3.조음위치에 의해 분류한 자음 가운데 국어에는 나타나지 않는 것은? 4) 1)성문음 2)순음 3)구개치경음 4)인두음.. 독학사자료 2012.12.23
국어 음운론2 1.다음 음성들의 공통자질은? 보기: [s, t, f, p] 3) 1)[+전방성,+설정성] 2)[+지속성,-공명성] 3)[-유성성,+전방성] 4)[+지속성,-비음성] 2.[i]모음 앞에서 실현되지 않는 음성은? 1)[Ç] 2)[ɛ] 3)[ɾ] 4)[n] 4) 3.다음 중 성대의 떪(진동)이 불완전한 상태에서 나는 소리는? 2) 1)무성음 2)중얼거림 소리.. 독학사자료 2012.12.22
국어 음운론1 1.다음 음성 자질중 국어 음소의 변별적 자질에 잉여적인 것은? 1) 1)유성성 2)경음성 3)유기성 4)비음성 2.[+전방성] 조음위치 자질과 관계가 없는 것은? 1)/ㄷ/ 2)/ㅅ/ 3)/ㄱ/ 4)/ㅂ/ 3) 3.[+지속성]음성 자질을 갖고 있는 것은? 1)/ㅊ/ 2)/ㅅ/ 3)/ㄴ/ 4)/ㄷ/ 2) 4.[-지속성]→[+비음성]/-[+비음성]과 같은 음.. 독학사자료 2012.12.22
국어 의미론4 1.의미를 심리학, 논리학, 언어학의 관점에서 해석한다면, 이 세 가지 의미론에 속하지 않는 것은? 1)일반 의미론 2)형식 의미론 3)언어학적 의미론 4)통사 의미론 4) 2.구조주의 시대의 의미론의 성과가 아닌 것은? 1) 1)생성 의미론 2)장이론 3)공시론적 기술-구조 의미론 4)성분분석 의미론 3... 독학사자료 2012.12.18
국어 의미론3 1.내포적 의미, 사회적 의미, 감정적 의미, 반사적 의미 등이 갖는 공통점이 아닌 것은? 1) 1)개념적 의미이다. 2)비핵심적 의미이다. 3)연상적 의미이다. 4)상황이나 문맥, 개인의 경험 등에 따라 변할 수 있는 의미이다. 2.언어기호를 청각영상과 개념의 이중구조로 이해한 사람은? 3) 1)오그든.. 독학사자료 2012.12.16
국어 의미론2 1.낱말들의 공기관계에 의해 검증될 수 있는 의미는? 1) 1)연어적 의미 2)내포적 의미 3)사회적 의미 4)감정적 의미 2.기계주의적 방법론에 의해 의미를 정의한 것은? 3) 1)지시설 2)개념설 3)자극-반응설 4)지시-의의설 3.언어 연구에서 의미를 배제하고 적대시하던 것은 어느 학파인가? 2) 1)소.. 독학사자료 2012.12.16
국어 의미론1 1.구조의미론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1)의미 발달의 지배 원리를 역사적으로 추적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2)소쉬르의 구조적 언어관에 기초 3)트리어의 ‘지적 의미영역 내의 독일어 어휘’등이 관련 업적이다. 4)‘장이론’은 구조의미론을 받치는 토대가 되었다 2.다음 중 의.. 독학사자료 2012.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