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학사자료

국어 음운론3

순례 2012. 12. 23. 23:28

1.음성학의 분야가운데 가장 최근에 대두되기 시작한 것은?                                                    3)

1)조음음성학     2)음향음성학     3)청음음성학     4)음운학

 

2.다음 중 공명기관이 아닌 것은?              1)인두   2)성대   3)비강   4)입술강                           2)

 

3.조음위치에 의해 분류한 자음 가운데 국어에는 나타나지 않는 것은?                                       4)

1)성문음     2)순음     3)구개치경음     4)인두음

 

4.운소가운데 말하는 이의 감정을 나타내는 음성 자질을 무엇이라 하는가?                                 2)

1)음장     2)표현적 자질     3)억양     4)성조

 

5.다음 중 성격이 다른 모음 하나는?             1)ㅑ    2)ㅕ    3)ㅢ    4)ㅖ                                    3)

 

6.다음 중 같은 음소의 변이음끼리 묶이지 않은 것은?                                                             4)

1)/ㄹ/-[l],[r]     2)/ㄱ/-[k],[g]     3)/ㄷ/-[t],[d]     4)/ㅂ/-[p],[f],[v]

 

7.?더 이상 짧게 이어나는 단위로 분석될 수 없는 음운론적 단위?를 음소로 본 견해는?             1)

1)변별적 대립설     2)물리적 실재설     3)양항 대립설     4)동류적 실재설

 

8.[-al]이라는 음성 환경틀을 정하고 [tal],[pal],[nal]등의 음성을 바꾸어 넣어 보아서 의미가 달라지는 단위들을 확인하면서 음소를 추출하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치환 테스트    2)분포에 의한 분석    3)변별력 테스트    4)최소 대립쌍                1)

 

9.말음규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

1)음절말 자음을 외파 시킨다.   2)모든 소리를 음가대로 내는 것이다.  3)[l,n,m,ŋ,k,p]로만 실현된다.   4)포괄적 분포에 해당된다.

 

10.등적 분포와 포괄적 분포의 차이점은?                                                                             2)

1)등적 분포의 변이음은 자유변이음이고 포괄적 분포의 변이음은 조건변이음이다.  2)등적 분포의 변이음은 언제나 상호교체가 가능하지만 포괄적 분포는 그렇지 않다.

3)포괄적 분포에서만 동일환경에서의 두 음성 [A],[B]에 [A]→[B]관계가 가능하다.

4)등적분포는 같은환경에나타나는 두음성이 변별적기능을하지만 포괄적분포는 그렇지못하다.

 

11.다음 중 “공명성”자질을 가진 음이 아닌 것은?          1)/ㅁ/   2)/ㄴ/   3)/ㄹ/   4)/ㅅ/             4)

 

12.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음소의 계열   2)음소의 서열   3)상관쌍   4)상관            1)

ㄱ. 조음방법이 같으면서 입을 벌리는 정도의 차이에 의해 구별되는 일군의 모음을 말한다

ㄴ. 조음방법이 같으면서 조음위치의 차이에 의해 구별되는 일군의 자음 음소를 말한다.  ㄷ. 국어의 /i/,/e/,/ɛ/와 /o/,/u/ 그리고 /p/,/t/,/k/는 한 부류를 이룬다.

 

13.다음 중 두음규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1)낱말 첫머리에서만 나타난다.                                 2)낱말 첫머리의 /ㄹ/이 /ㄴ/ 으로 바뀐다.

3)낱말 첫머리의 /ㄴ/은 /i/나 /j/를 만나면 탈락한다.   4)모음이나 /ㄴ/ 다음에서는 낱말 첫머리가 아니어도 탈락하는 경우가 있다.

 

14.생성 음운론과 관련이 없는 사람은?       1)Jakoboson   2)Chomsky   3)Halle   4)Kiparsky     1)

 

15.다음 중 음성 자질 표시가 틀린 것은?                                                                              4)     

1)p,t,k:[-지연개방성][-지속성]    2)s,θ:[-비음성][+지속성]    3)r:[+지속성][-설측성]    4)t:[-지연개방성][+조음성]

 

16.“복”이“곱”으로, “시혹”이 “혹시”로 바뀐 것과 관련 있는 것은?                                       4)

1)내파화     2)자음접변     3)자음군 단순화     4)음위전환

 

17.기저형이 여러 음성적 환경에 따라 달리 나타난 이형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4)

1)기저형 음운표시     2)변이음     3)추상적 표시     4)도출 음성 표시

 

18.훈민정음의 자음 기본자는 무엇을 본떠 만든 글자인가?                                                      3)

1)천.지.인을 본떠서   2)중국문자를 근거로     3)발음기관을 본떠서     4)한국 고유의 창살무늬를 본떠서

 

19.훈민정음의 모음 설명 중 “ㅗ”와 같되 “l”에서 발음이 시작되는 모음은?  1)ㅛ 2)ㅚ 3)ㅘ 4)ㅗㅓ  1)

 

20.중세 국어에서 /ㅈ,ㅊ/은 어떤 음이었는가?         1)[ʦ,ʦ̒]  2)[ʧ,ʧ̓]  3)[z,z̓]  4)[s,s̓]               1)

 

21.중세 국어의 성조 체계 중 성격이 다른 하나는 ?         1)평성  2)상성  3)거성  4)입성              4)

 

22./ㅸ/이 마지막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책은?                                                                      2)

1)『훈몽자회』     2)『능엄경 언해』     3)『용비어천가』     4)『원각경 언해』

 

23.“ㆉ,ㆌ”의 소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1)“ㅚ,ㅟ”가 하강 이중모음에서 상승 이중모음으로 바뀌면서 사라졌다.    2)19세기 말까지 지속되었다. 

3)“ㅐ,ㅔ”가 단모음화 하면서 자연히 소멸되었다.                                 4)다른 음의 영향 없이 독자적으로 16세기에 소멸되었다.

 

24.다음 중 음운 변화 현상이 같지 않은 것은?                                                                       4)

1)겨집→계집     2)너기-→네기-     3)어미→에미     4)므지게→무지게 

 

25.내파음이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파열음은 세 단계의 과정을 거쳐 조음된다. 공기의 흐름은 폐쇄하는 순간과 이 폐쇄가 잠시나마 지속되는 정지 순간, 그리고 조음 부위를 파열시키면서 조음되는 순간이 다. 이런 단계를 다 거치는 파열음을 “완전 파열음”이라 한다. 마지막 단계의 파열이 없는 불완전 파열음을 “내파음”이라 한다. 예를 들면 “밥, 입”등에서 받침[ㅂ]은 내파음이다.

 

26.자음과 모음의 변별 자질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시오.

자음과 모음은 공기흐름의 장애를 받느냐의 여부로 구분된다. 이를 장애성 자질이라 한다. 모음과 반모음의 구분을 위해 단독으로 음절을 이룰 수 있느냐의 여부를 첨가한다. 이는 성절성 자질이라고 한다. 자음은 [+장애성][-성절성]이고, 모음은 [-장애성][+성절성]이며, 반모음은 [-장애성][-성절성] 자질을 갖는다.

 

27.중세국어의 모음체계에 대하여 약술하시오.

중세국어의 모음은 세 서열 세 계열의 조직으로 ㅣ/i/ ㅜ/u/:ㅗ/o/이루어졌다. 전설계열에 “l”, 중설계열에 “ㅜ,ㅡ,ㅓ”, ㅡ/ɨ/ :ㆍ/ʌ/후설계열에 “ㅗ,ㆍ,ㅏ”로 분류된다. ㅓ/ə/ : ㅏ/a

 

28.“바다+으로→바다로, 자+으니→자니”에서 나타나는 /ㅡ/탈락 현상을 변별적 자질을 이용 하여 음운규칙으로 쓰시오.     ɨ→ø/[+vocal]_______

 

29.조음 음성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

1)19세기 들어 급속도로 발전하였다.    2)고대에도 행해진 것으로 보인다.  

3)음파의 음향적 특성을 다룬다.         4)음서기관이 말소리를 조음하는 방법과 위치에 따라 음의 산출 영역을 다루는 것이다.

 

30.성대의 진동 여부에 따른 음의 구분은?                                                                           1)

1)무성음과 유성음     2)성문 폐쇄음과 성문 파열음     3)자음과 모음     4)원순음과 평순음

 

31.다음 중 원순모음끼리 묶인 것은?      1)ㅗ,ㅜ,ㅟ  2)ㅏ,ㅓ,ㅗ  3)ㅔ,ㅐ,ㅣ  4)ㅚ,ㅟ,ㅡ                1)

 

32.다음 중 조음 위치에 따른 자음 분류와 그 예가 맞지 않는 것은?                                           2)

1)[f,v]-순치음     2)[n,t]-구개치경음     3)[ħ,ʕ]-인두음     4)[h,ɦ]-성문음

 

33.의미변별에 작용하는 초분절소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모음  2)상가분절소  3)모음  4)운소   4)

 

34.N.S.Trubetzkoy의 저서로 프라그 학파의 대표적인 이론서는?                                            1)

1)음운론의 원리     2)생리학의 원리와 언어조직     3)일반 언어학 강의     4)산스크리트 문법

 

35.다음 중 “양항 대립설”과 관련이 없는 것은?                                                                      3)

1)Jakobson, Fant, Halle     2)음향 음성학에 바탕을 두었다.   3)변별자질을 정도성으로 표시한다.     4)12가지의 대립을 설정했다.

 

36.“ㄱ,ㄷ,ㅂ”의 대표 변이음으로 [k],[t],[p]를 삼는 기준은?                                                   2)

1)어두에서 나타나기 때문이다.    2)음성적 환경의 제약을 받지 않고 나타나기 때문이다.    3)분포의 제약을 가장 적게 받기 때문이다.    4)임의로 정한 것이다.

 

37.일반적으로 음성들이 한 음소로 묶이는가를 확인하는 기본적인 기준은?                                1)

1)음성적 유사성     2)의미 변별력     3)형태상의 공통점     4)의미 공통점

 

38.다음 중 상호 교체가 가능하지 않은 것은?   1)[ʆ]~[r] 2)[p]~[b] 3)[wi]~[yi] 4)[ʧ]~[ʦ]     2)

 

39.다음 중 두 음소 사이의 관계만으로 이루어지는 음소의 대립이 아닌 것은?                            1)

1)양면대립     2)유무대립     3)등차대립     4)등치대립

 

40.다음 중 음소의 변동 유형과 관련이 없는 것은?                                                                 2)

1)음소 결합의 제약성과 관련된 것     2)시간의 흐름에 따른 것    3)형태소 융합에 따른 것     4)발음의 편리성과 관련된 것

 

41.국어의 “사잇소리 현상”에 실제로 나타나는 음의 첨가가 아닌 것은?   1)/ㄴ/ 첨가 2)/ㅁ/ 첨가 3)/ㄷ/ 첨가 4)/ㅂ/ 첨가         2)

 

42.“아비애비, 먹히다멕히다”에서 나타나는 규칙은?   1)후설모음화   2)원순은화   3)전설모음화   4)유성음화             3)

 

43.p,b,f,v,m을 전방성과 설정성 자질로 표시한 것으로 옳은 것은?                                            4)

1)[+전방성][+설정성]    2)[-전방성][+설정성]    3)[-전방성][-설정성]    4)[+전방성][-설정성]

 

44.[i]와 [j]를 함께 변별 자질로 묶은 것으로 옳은 것은?                                                         2)

1)[+성절성, +고설성, +후설성, -원순성]   2)[+성절성, +고설성, -후설성, -원순성]  3)[-성절성, -고설성, -후설성, -원순성]   4)[+성절성, -고설성, +후설성, -원순성]

 

45.다음 중 이체자가 아닌 것은?             1)ㆁ    2)ㄹ    3)ㅿ    4)ㅇ                                         4)

 

46.모음의 기본자 “ㆍ,ㅡ,ㅣ”는 각기 무엇을 본뜬 것인가?                                                        4)

1)하늘, 사람, 땅     2)사람, 하늘, 땅     3)땅, 하늘, 사람     4)하늘, 땅, 사람

 

47.다음 중 순경음 ㅸ의 음가로 맞는 것은?          1)[s]    2)[b]    3)[β]    4)[p]                       3)

 

48.각자병서 가운데 전탁음이 아닌 것은?         1)ㅥ,ㆅ    2)ㄲ,ㄸ    3)ㅆ,ㅉ    4)ㅥ,ㆀ                 4)

 

49.다음 중 음절 말음이 내파될 때 음운변동으로 옳지 않은 것은?   1)ㄷ→ㅌ   2)ㅍ→ㅂ   3)ㅎ→ㄷ   4)ㅅ→ㅿ      1)

 

50.어두 자음군의 소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

1)경음화로 일단락 된다.                          2)ㅅ계 자음군은 15세기말 내지 16세기 초에 소실된 것으로 보임

3)ㅅ계 자음군은 격음화로 바뀐예도 많다.   4)ㅂ계 합용병서는 18세기초에 모두 된소리화 됨

 

51.국어의 종성체계에서 /ㅅ/과 /ㄷ/으로 중화한 것은 언제쯤인가?  1)15세기말   2)16세기 초   3)16세기중기   4)17세기 초     3)

 

52.동일 서열로의 비음화 현상이 아닌 것은?                                                                         3)

1)니노라>니노라>니노라    2)ㅴ >ㅴ >    3)아>아츰>아침    4)슴거울>승겁>싱겁

 

53.조음 음성학에서의 조음위치에 의한 자음 분류를 제시하시오.     

자음은 조음위치와 조음방식에 의해 구분된다. 공기가 조음부의 어느 위치에서 조음되는가에 따라 자음을 분류하면 대개 12가지 정도로 구분된다. 양순음, 순치음, 치음, 치경음, 권설음, 구개치경음, 치경구개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수음, 인두음, 성문음이 그것이다.

 

54.국어자음의 상관쌍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시오.         

국어자음에는 [경음성]자질의 유무로 다섯 개의 상관쌍이 있고, [유기성]자질의 유무로 네 개의 상관쌍이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경음성]유무:/ㅂ/:/ㅃ/,/ㄷ/:/ㄸ/,/ㅅ/:/ㅆ/,/ㅈ/:/ㅉ/,/ㄱ/:/ㄲ/ [유기성]유무:/ㅂ/:/ㅍ/,/ㄷ/:/ㅌ/,/ㅈ/:/ㅊ/,/ㄱ/:/ㅋ/

 

55./p/,/t/,/n/,/k/를 [전방성]과[설정성]자질을 이용해 분류하시오.

         /p/ /t/ /n/ /k/

전방성  +   +   -   -

설정성  -   +   +   -

 

56.“음운도치(전위)”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시오.

한 단어 안에서 어떤 음들의 순서가 바뀌어 변화로 정착되는 것을 말한다. 이 현상의 원인은 분명하지 않다. 많은 언어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중세국어의 “복”에서 /ㅂ/과/ㄱ/이 도치되어 “곱(배꼽)”이 되었다.

 

57.다음 단어의 음성표기가 다 맞는 것은?                                                                            4)

1)대한민국[tɛhanminkuk̒]     2)울다[ulta]     3)곰보[komβ]     4)감기[kamgi]

 

58.[m.n.ŋ.l]의 공통자질이 아닌 것은?       1)공명성    2)유성성    3)비음성    4)자음성              3)

 

59.다음 보기의 단어 중 장음으로 실현된 음절이 들어 있지 않은 것은?   1)없다 2)눈사람 3)여름 4)살아     1)

 

60.[ɨ]의 변별 자질이 아닌 것은?       1)[+고설성]  2)[+원순성]  3)[+후설성]  4)[-저설성]           2)

 

61.다음 보기의 두 음소의 대립이 등차 대립으로 이루어진 것은?  1)/i/ : /ü/   2)/ɨ/ : /u/   3)/e/ : /ɛ/   4)/ö/ : /o/      3)

 

62.[+전방성, 설정성] 자질을 가지고 있는 음성은?         1)[č]   2)[p]   3)[g]   4)[z]                 2)

 

63.무기 무성 치경 마찰음은?             1)[f]     2)[ɸ]     3)[s]     4)[ç]                                     3)

 

64.‘없-+-다→[업따]’와 같은 음운 변동에서 제일 먼저 일어난 음운 규칙은?                               2)

1)경음화     2)묵음화     3)두음규칙     4)자음접변

 

65.[ɛ,i,e,a]의 공통자질을 맞게 설명한 것은?                                                                        3)

1)[전설성, 평순성]     2)[원순성, 고설성]    3)[후설성, 저설성]     4)[평순성, 중설성]

 

66.조음 위치가 다른 하나는?          1)[ɸ]    2)[s]    3)[t]    4)[n]                                          1)

 

67.조음 방법이 다른 하나는?         1)[s]    2)[h]    3)[ç]    4)[q]                                          4)

 

68.두 음소의 대립이 다면적인 것은?      1)/s/:/s’/   2)/t/:/k/   3)/ɨ/:/u/   4)/n/:/l/                  2)

 

69.다음 보기에서 경음화가 일어나는 형태소의 연결은?    1)바다도   2)물과   3)감다   4)울지       3)

 

70.다음 보기에서 음위 전환이 일어나는 형태소의 연결은?     1)각하  2)옳고  3)훑지  4)값만        2)

 

71.다음 자음 접변 중 순행 동화는?            1)일 년   2)천 리   3)부엌문   4)잇는                       1)

 

72.중세국어에서 체언 말 모음이 탈락하면서 /ㄱ/이 첨가되는 곡용도 보여주던 어휘가 아닌 것은?   

1)나모     2)구무     3)녀느    4)아                                                                                  4)

 

73.국어 자음의 상관을 옳게 설명한 것은?                                                                            3)

1)두 계열 두 상관     2)세 계열 두 상관   3)세 계열 두 상관    4)세 계열 세 상관

 

74.국어 모음 음소의 조직은?   1)두 서열 세 계열   2)세 서열 세 계열   3)세 서열 네 계열   4)네 서열 네 계열     3)

 

75.국어의 음소 배열을 설명한 것이다. 맞지 않는 것은?                                                          1)

1)모든 자음은 어두에 나타난다.    2)모음은 연속 배열이 가능하다.   3)자음의 배열은 두 개까지 가능하다.    4)활음은 모음의 앞이나 뒤에만 나타난다.

 

76.‘ㅿ’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4)

1)이의 모양을 본뜬 글자이나 그 체가 다르다.             2)주로 모음과 모음 사이에서 나타난다.

3)용언 어간말 ‘ㅅ’이 활용해서 ‘ㅿ’으로 변동되기도 함   4)복합어 형성에서 ‘ㅿ’이 안 나타남

 

77.‘ㆆ’의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1)국어에서 초성으로 쓰이기도 한 글자  2)관형형어미 ‘ㄹ’ 과 함께 쓰이기도 함 3)동국정운식 표기에서 ‘이영보래’로 쓰이기도 함  4)‘사잇소리’를 표기하는데 쓰이기도 함

 

78.다음에서 모음조화에 어긋난 것은?        1)나모   2)사ㅿㅣ   3)가마괴는   4)구루           4)

 

79.‘조+→조>좁쌀’의 변화 과정의 설명에 관계되지 않는 것은?                                           3)

1)음절구조의 조정     2)음운의 변화     3)사잇소리의 발달     4)경음화 현상

 

80.중세 국어에서의 음운 변동이 지금과 달랐던 것은?    1)업시   2)드르신   3)아더니   4)사      3)

 

81.훈민정음에서의 모음의 분류 기준은?            1)설축의 정도 2)소리의 깊이 정도 3)구축과 구장

 

82.자유변이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한 음소의 이음이 같은 음성적 환경에서 임의로 나타날 수 있을 때 이를 자유변이음이라 한다.

 

83.‘독립문’을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시오.                                                            [toŋnimmun]

 

84.상승적 이중 모음과 하강적 이중 모음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모음(주음)앞에 반모음(부음)이 앞에 오는 중모음을 상승적 이중모음, 뒤에 오는 중모음을 하강적 이중모음이라 한다.

 

85.단모음으로 발음되느냐 장모음으로 발음되느냐에 따라서 그 음소의 변이음이 달라지는 것 은?     

1)ㅓ      2)ㅡ      3)ㅜ     4)ㅚ                                                                                           1)

 

86.[+공명성]자질의 음소끼리 묶인 것은?  1)/k,m,t,l/   2)/n,ʃ,ç,ŋ/   3)/β,v,d,g/   4)/m,n,ŋ,l/    4)

 

87.‘시혹>혹시’와 같은 변화는 다음의 어느 현상과 연관이 있는가? 1)잘못분석(오분석) 2)유추작용 3)전 위 4)강화현상       3)

 

88.음소결합의 제약(통합적 관계)과 관련이 있는 변동은?   1)전설모음화 2)자음군 단순화 3)활음화 4)모음조화      2)

 

89.두 음소의 대립이 유무자질에 의하여 이루어지지 않은 것은?    1)ㅟ:ㅣ   2)ㅚ:ㅔ   3)ㅚ:ㅗ   4)ㅜ:ㅡ        3)

 

90.유추작용과 연관되는 단어의 변화는?                                                                             1)

1)사>사흘     2)복>곱>배꼽     3)한길>행길     4)불삽>부삽

 

91.국어에서 비변별적 자질인 것은?           1)경음성   2)유성성   3)유기성   4)비음성                  2)

 

92.국어의 상관의 상관 정표를 옳게 지적한 것은?                                                                 1)

1)경음성, 유기성     2)경음성, 유성성     3)유기성, 공명성     4)무성성, 유성성

 

93.곡용(체언에 조사가 결합)할 때에 모음이 탈락하면서 /ㄱ/이 첨가되기도 하는 단어를 (중세국어에서) 고르면?   

1)여     2)노     3)나모     4)불휘                                                                                  3)

 

94.중화 대립이 되기도 하는 음소끼리 짝지어진 것은?     1)ㅂ, ㄷ   2)ㄹ, ㅁ  3)ㄱ, ㄴ   4)ㄷ,ㅅ      4)

   

95.‘민중어원’과 연관될 수 있는 단어의 변화는?                                                                     4)

1)다>다>다>같다    2)소곰>소금    3)슴겁다>승겁다>싱겁다    4)울에>우레>우뢰

 

96.한 음소의 변이음이면서 상보적(배타적) 분포를 이루고 있는 것끼리 짝지어진 것은?

1)[ɾ,r]     2)[ƅ,β]     3)[k,g]     4)[p,pʼ]                                                                             3)

 

97.포괄적 분포를 이룰 수 있는 변이음끼리 짝지어진 것은?    1)[k,k̚]   2)[b,β]   3)[s,ç]   4)[k,q]      2)

 

98.유성음과 유성음 사이에 나타나도 유성음으로 바뀌지 않는 음성은?    1)[s]   2)[k]   3)[t]   4)[ʧ]       1)

 

99.중세국어에서 가장 먼저 소실된 음소는?             1)ㆍ   2)ㅸ   3)ㅿ   4)ㅈ                             3)

 

100.‘먹이다→멕이다, 녹이다→뇍이다’와 같은 음운 변동은?   1)원순모음화   2)전설모음화   3)고모음화   4)활음화       2)

 

101.다음에서 [+성절성, +공명성]자질을 가진 음성은?      1)[m]   2)[d]   3)[g]   4)[n]              4)

 

102.중세국어에서 존재하지 않았다고 보는 운소는?        1)평성   2)상성   3)거성   4)입성            4)

 

103.형태소나 단어의 변별적 기능에 관여하지 않는 운소는?   1)억양   2)음장   3)성조   4)강약      1)

 

104.다음 중 파열음만으로 묶인 것은?          1)p,b,m   2)s,t,g   3)k,p,t   4)f,ts,θ                       3)

 

105.[-후설성, -고설성, -저설성, +원순성]자질을 가진 모음은?       1)ㅜ   2)ㅗ   3)ㅟ   4)ㅚ         4)

 

106.‘유기, 무성, 연구개 파열음’인 것은?          1)p    2)t    3)kʰ    4)h                                       3)

 

107.국어의 모음은 어떠한 조직을 이루고 있는가?                                                                  3)

1)두 서열 네 계열의 삼각조직    2)두 서열 네 계열의 사각조직   3)세 서열 네 계열의 사각조직    4)네 서열 네 계열의 사각조직

 

108.현대국어의 음절말(받침)에서 발음되는 자음을 모두 적으시오.          ㄱ, ㄴ, ㄷ, ㄹ, ㅁ, ㅂ,ㅇ[ŋ]

 

109.‘상관쌍’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두 음소가 유무 자질의 차이로 대립을 이루는데 이러한 유무 대립이 다른 음소들 사이에서도 성립하는 경우 이 두 음소를 ‘상관쌍’이라고 한다.

 

110.‘음성의 변별적 자질’을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국어에서 ‘불:뿔’의 의미의 차이의 ‘ㅂ:ㅃ’ 이 경음성 자질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이 경우 이 ‘경음성’자질은 ‘변별적 자질’이라고 한다. 다시 말하여 한 음소가 가지고 있는 여러 음성 자질 중 의미에 관여하는 자질하는 자질은 변별적 자질, 그렇지 못한 자질은 ‘비변별적 자질’이라 한다.

 

111.‘ㅑ與ㅏ同而起於ㅣ(ㅑ는 ㅏ와 같되 ㅣ에서 일어난다)’는 무슨 뜻인가 설명하시오.

‘ㅑ’를 길게 발음하여 보면 ㅏ와 같아지지만 ㅑ는 모음 ㅣ에서 발음이 비롯되는 음성임을 설명하고 있어 결국‘ㅑ’가 중모음 단위임을 나타내려 한 것이다.

 

국어음운론3.hwp

                                                                                      소원을말해봐

국어음운론3.hwp
0.05MB

'독학사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어 음운론5  (0) 2012.12.25
국어 음운론4  (0) 2012.12.25
국어 음운론2  (0) 2012.12.22
국어 음운론1  (0) 2012.12.22
국어 의미론4  (0) 2012.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