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학사자료

국어 음운론5

순례 2012. 12. 25. 05:28

1.국어의 상승적 중모음과 하강적 중모음에 대해 설명하시오.

국어 중모음의 대부분은 후부 음이 성절음으로 나타나는 상승적 중모음이다. 그리고 하강적 중모음은 /ɨy/ 하나뿐이며, 다른 중모음들과 고립되어 있기 때문에 매우 불안정한 음이다.

 

2.음소론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시오.   

미국 구조주의 언어학 등에서 음성학과 함께 언어학 분야 가운데 음성에 관계되는 부문을 말한다. 어떤 언어에 관해서 그 음소들을 설정하고, 이들 음소간의 관계를 조사하여, 음소의 분류나 결합방식 등을 연구하여 기술한다. 음소를 이루는 변이음간의 관계도 여기에 포함된다.

 

3.음소란 무엇인가?   

 언어에 사용되는 유한수의 음 단위의 층위라는 관점에서 보면, 음소층위는 형태소층위와 좀더 구체적인 음성층위의 중간에 위치한다. 음소층위를

형태소층위와 관계시켜 말하자면, 특정 언어에서의 형태소나 발화는 반드시 그 언어의 음소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고 하겠으며, 좀더 구체적인 음성층위와 관계시켜 말하자면, 하나의 음소는 음성적으로 유사한 몇 개의 이음으로 이루어진다는 관계를 갖는다. 음소를 정의하자면 실로 많은 문제가 따른다.

 

4.단음에 대하여 음소와 연관시켜 서술하시오. 

이음과 같은 의미로 쓰이기도 하나, 특정한 음소의 구성원이라는 개념을 떠난 경우의 음을 특히 단음이라 부르는 일이 많다. 실현된 또는 물리적인 음의 분절적 단위이므로 음소와는 대조된다.

 

5.갈비: 굴비는 어떤 분포로 설명할 수 있나?                                                             상보적 분포

 

6.음운대립을 이루는 단어의 짝을 (최소대립의 쌍) 이라 한다.

 

7.음소는 서로 어떤 특성이 있고 없는 차이에 따라 짝을 이루는데, 이런 짝으로 형성된 쌍이 (상관적 대립)이며, 그 사이에는 서로 상관관계가 성립된다. 따라서 (음소체계)는 일정한 언어가 갖고 있는 고유한 상관적 대립의 전체라고 규정한다.

 

8.음성기호는 어떤 종류의 것이 보편적이며, 왜 써야 하는가?

음성기호는 일반적으로 간략표기의 자모표기가 쓰이고 있으나 보편적인 것은 국제음성자모이며, 음운표기인 국자(國字)로서는 음성표기를 알 수 없으므로, 어느 언어나 음성기호를 사용치 않을 수 없다.

 

9.음성적 유사성이란 무엇인가?    

한 음소에 속하는 모든 단음이 다른 음소의 단음에 없는 조음특성으로 공통됨을 음성적 유사성이라 말한다.

 

10.동화란 무엇이며 그 종류로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약술하시오.

어떤 음이 근접하는 다른 음의 영향을 받아 그 음과 같거나 유사한 음으로 변화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화에 대조되는 이 과정은 일정한 환경의 음과 완전히 동일음이 되느냐 되지 않느냐에 따라서 완전동화와 불완전동화로 구분할 수 있고 또 어떤 위치에 있는 인접음의 영향을 받느냐의 여부에 따라서 앞의 음이 후속 하는 음에 영향을 줄 때 순행동화, 그 반대 현상을 역행동화, 상호 영향을 받는 경우를 상호동화라고 불러 세 가지로 나눈다.

 

12.중화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둘 이상의 요소가 동일한 형으로 나타나는 현상.

 

13.생성음운론이 구조음운론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

생성음운론이 구조음운론과 다른 점은 최소단위로 보던 음소를 더 분석하여 시차특성을 최소단위로 하는 분절로 기술하는 일이다. 또 생성음운론에서는 음운변이에 대하여 ‘어떻게’보다 ‘왜’에 주목하여 더 많은 설명력과 예언력을 갖는다.

 

14.유표와 무표의 차이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음운상 더 복잡하고 한정적인 것과 덜 복잡하고 정상적인 것

 

15.연접에 대하여 약술하고, 그 종류를 서술하시오.

음소의 일종으로, 발화의 단절을 나타내는 기능을 한다. 영어에는 네 가지 연접이 있는데, 하나의 내부개방 연접 혹은 플러스 연접이라고 불리는 것과, 세 가지 말미 연접으로 되어 있는데, 말미연접은 각각 단일선 연접, 이중선 연접, 이중십자 연접 등으로 불리며, 각각 /+│∥#/ 혹은 /+→↗↘/과 같이 나타낸다.

 

16.기저표시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변형생성문법의 기본적인 용어, 통사론에서는 기저구조라고도 한다. 좀더 추상적인 심층구조라는 의미로 쓰이는 경우와, 일정한 문장의 표면구조 이전에 위치하여 변형의 입력이 될 수 있는 구조를 일반적으로 가리키는 경우가 있다. 음운부에서의 기저표시는 음운표시를 가리키는 경우나, 또는 어휘표시를 가리키는 경우, 그리고 일반적으로 음성표시 이면에 있다는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있다.

 

17.유추란 무엇인지 쓰시오.   

어떤 단어나 형태가 그것과 비슷하거나 비슷하다고 여겨지는 단어에 이끌리어 정상적인 발전궤도를 벗어나 버리는 전혀 예측할 수 없는

엉뚱한 경향을 말한다. 즉, 현존하는 형태의 모형을 근거로 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들거나 또는 그것에 맞추어 단어들을 수정하는 과정을 말한다.

 

18.조음방식에 대하여 약술하시오.   

성도에서 공기의 흐름이 협착되거나 개방되거나 하는 방법으로서, 언어음의 분류에 사용된다. 정지음, 비음, 마찰음, 파찰음, 측음, 진동음, 타음, 반모음, 모음 등의 주요 분류가 있다.

 

19.유추작용의 예를 둘 이상 들고, 그 변천과정을 쓰시오.   처>처엄>처음, 일홈>일옴>이름, 사>사>사흘, 나>나>나흘

 

20.잘못 발음하거나 남의 말을 잘못 듣고 기억함으로 인해 한 어사 안의 음운의 자리가 바뀌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음운전위

 

21.“이륵이륵>이글이글, 하야로비>해야로비>해오라비”의 음운현상은?                              음운도치

 

국어음운론5.hwp

국어음운론5.hwp
0.03MB

'독학사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학사 자료를 마치고  (0) 2012.12.26
국어 음운론4  (0) 2012.12.25
국어 음운론3  (0) 2012.12.23
국어 음운론2  (0) 2012.12.22
국어 음운론1  (0) 2012.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