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음성의 최소단위는? 1)단음 2)음소 3)음운 4)음성 1)
2.말의 뜻을 분화하는 구실을 가진 변별적 대립의 소리의 연구와 그 체계에 관한 연구분야는?
1)음성학 2)음운론 3)어휘론 4)의미론 2)
3.음운의 최소단위는? 1)음성 2)음소 3)단음 4)소음 2)
4.음성설정에 있어서 조음방법에 기준한 변별적 자질은? 1)비음성: 구음성 2)전설성 3)전방성 4)설단성 1)
5.음성학의 분야 중 언어학자들이 손쉽게 접근할 수 있고 실용적 분야로 연구된 것은?
1)음향음성학 2)표기음성학 3)조음음성학 4)청취음성학 3)
6.발음기관을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때 속하지 않는 것은? 1)음성기관 2)조음기관 3)발성기관 4)호흡기관 1)
7.음성학과 음운론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1)음성학은 음성의 객관적인 면을 다룬다 2)음성학에서 음성은 모두 동일한 가치를 지닌다
3)음운론은 의미와 관련이 없다. 4)소쉬르는 음운론을 랑그의 음성학이라 하였다.
8.음성학의 세 분야에 대하여 쓰시오.
조음(생리)음성학, 음향음성학, 청음(청취)음성학이 있다. 조음음성학은 음성의 발생적 측면에서 말소리를 기술하고 분류하는 것이며, 음향음성학은 공기 파장을 통한 음성의 전달이라는 측면에서 말소리의 물리적 특성들을 연구하는 것이고, 청취음성학은 귀에 전달된 음성이 어떻게 지각되고 인지되느냐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9.머릿속에 기억되어 있는 추상적인 언어를 무엇이라 하는가? 랑그(langue)
10.빠롤(parole)이란 무엇인지 약술하시오. 랑그가 개인에 의하여 현실적으로 행해지는 것
11.음성의 생성, 전달, 청취에 관계되는 문제들을 객관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은? 음성학
12.음운론의 기본 연구 단위는? 음소
13.언어학이 문제 삼고자 하는 진정한 의미의 언어는? 랑그
14.음성학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소리 말의 해부학, 신경학, 병리학 및 말소리의 조음, 분류, 지각을 포함하는 소리 말의 처리과정을 연구하는 분야
15.음운론에 대하여 약술하시오.
미시언어학의 하위구분으로 여겨온 음운론은 음성학과음소론을 포함하며, 어떤 언어의 특정시기에서의 언어음성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음성변화의 역사적. 이론적 연구를 말하는 경우에 흔히 사용되는 용어인데, 이때 대상은 특정한 시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비교를 의도할 때는 당연히 둘 이상의 언어를 포괄하게 된다. 프라그학파의 음운론을 가리켜서 쓰이는 경우도 있다.
16.프라그학파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시오.
음운론과 음성학을 정리하면서 일체의 심리적 관점을 보여주지 않고 오직 기능적 관점만을 중시한 학파로, 음운론과 음성학의 근본적인 차이는 언어의 연구에 있어서 그 기능을 고려해 넣는가 안 넣는가를 말하는 것으로, 음운론만이 언어학에 속하며, 음성학은 한 보조과학이라고 한다.
17.음성과 음운의 차이에 대해 약술하시오.
음성은 개개인의 속성을 벗긴 추상음이며, 음운은 음성에 대하여 한 언어사회의 색채를 벗기지 않고 본 관념어를 말한다.
18.실험음성학에 대해 설명하시오.
전자장치나 기기를 사용하여 발음운동 및 음성을 인위적으로 반복 관찰한다던가 고정적인 형으로 기록하여 음성을 자세히 분석. 기술하는 연구방법
19.다음 중 잘못된 것은? 2)
1)말소리 분석 기술은 음성적 차원과 음운적 차원으로 구분된다. 2)음성은 추상적. 물리적. 개별적 소리를 말한다.
3)음운은 논리적. 추상적. 집합적인 관념적 소리를 말한다. 4)음성학은 개별적 현실 음을 그대로 측정하는 것이다.
20.근대 음성학을 성립시킨 사람은? 1)E.W Brüke 2)Saussure 3)Halle 4)Fant 1)
21.시기적으로 가장 늦게 나온 음운론 관련저서는? 3)
1)훈민정음 해례 2)최석정의 「경세정운」 3)유희의「언문지」 4)신경준의「운해」 [ 1)15C, 2)1678년, 3)1824년, 4)1705년 ]
22.다음 중 CSV의 관계로 이루어진 음절은? 1)아 2)앞 3)과 4)왕 3)
23.‘광’은 어떤 결합간계라 할 수 있나? 1)CSV 2)SVC 3)CVC 4)CSVC 4)
24.'밖'은 어떤 결합관계인가? 1)VC 2)SVC 3)CVC 4)CSV 3)
25.현대국어에서 단모음은 최대 몇 개인가? 1)8개 2)9개 3)10개 4)11개 3)
26.다음에서 상보적 분포를 이루지 않는 것은? 1)감기 2)바보 3)자전거 4)사람 4)
27./으/,/어/,/아/는 어떤 모음인가? 1)전설모음 2)중설모음 3)후설모음 4)저모음 2)
28.우리말 ‘달, 흘러, 놀며’등에 쓰인 ‘ㄹ’의 음가는 어디에 속하는가? 1)마찰음 2)설전음 3)설측음 4)유음 3)
29.다음 중 현대국어의 음절구조가 아닌 것은? 1)VC 2)CVC 3)VCC 4)CV 3)
30다음 중 공명음인 것은? 1)파열음 2)마찰음 3)유음 4)파찰음 3)
31.현대국어에 쓰이는 자음 수는 몇 개인가? 1)14개 2)19개 3)21개 4)23개 2)
32.국어의 중모음은 몇 개인가? 12개 (jɑ, jə, jo, ju, je, jɛ, wɑ, wə, wi, wɛ, we, ɨj)
33.음운설정의 세 가지 원리는 무엇인가? 자유변이, 상보적 분포, 최소대립
34.국어음운론의 획기적인 성과로 볼 수 있는 문헌은? 훈민정음 해례
35.원순모음화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고, 그 예를 적으시오.
순음 ㅁ, ㅂ, ㅍ이 ‘으’를 만나 ‘무, 부, 푸’등으로 바뀌는 것. 예)블>불, 플>풀, 므겁다>무겁다, 븕다>붉다
36.중모음이란 무엇인가?
중모음은 한 음절 속에서 연속한 두 모음을 가리킨 말이다. 이 모음은 흔히 어느 하나가 주음이 되고, 다른 것은 부음이 되는데, 부음은 대개 과도음으로서 짧다.
37.국어의 음절을 이루는 최소 단위는? 하나의 모음
38.자음의 분류기준 세 가지를 나열하시오.
조음위치에 따른 분류, 조음방식에 따른 분류, 성대진동에 따른 분류
39.유음에 대하여 설명하고, 그 종류를 적으시오.
물 흐르는 소리 같다고 하여 유음이라 한다. 국어에서는 ‘ㄹ’음이 이에 해당하는데, 설측음 ‘ㄹ’은 영어의 ‘l’음가에 해당하고, 받침소리에서 그 음가가 실현되며 설전음(전설음이라고도 함) ‘ㄹ’은 영어의 ‘r’음가에 해당하는데 첫소리에서 실현된다.
40.경험심리학적 방법에 의하여 소리의 높이나 세기, 길이 등의 식별에 중점을 두고 연구하는 음성학 분야는 무엇인가? 청취 음성학
41.잘못 연결된 것은? 2)
1)Prague학파-기능주의 언어학 2)Bloomfield학파-생리적 관점의 음운분석
3)Copenhagen학파-Glossematics 4)Sapir-심리적 음소론 (브롬필드학파-물리적 관점의 음운분석)
42.국어의 유성음을 모두 나열하시오. 모음 전체와 ㄴ, ㄹ, ㅁ, ㅇ 의 자음
43.파열음에 대하여 간략히 서술하시오.
허파에서 나오는 공기의 흐름을 어떤 조음부에서 일단 완전히 막았다가 터뜨리는 과장에서 나오는 음으로 정지음이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