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다음 음성 자질중 국어 음소의 변별적 자질에 잉여적인 것은? 1)
1)유성성 2)경음성 3)유기성 4)비음성
2.[+전방성] 조음위치 자질과 관계가 없는 것은? 1)/ㄷ/ 2)/ㅅ/ 3)/ㄱ/ 4)/ㅂ/ 3)
3.[+지속성]음성 자질을 갖고 있는 것은? 1)/ㅊ/ 2)/ㅅ/ 3)/ㄴ/ 4)/ㄷ/ 2)
4.[-지속성]→[+비음성]/-[+비음성]과 같은 음운 규칙의 보기가 아닌 것은? 3)
1)/k/→/ŋ/ 2)/t/→/n/ 3)/l/→/n/ 4)/p/→/m/
5.'아비→애비, 어미→에미, 구경→귀경, 속이다→쇡이다‘와 같은 음운 현상은? 4)
1)활음화 2)원순모음화 3)고설모음화 4)전설모음화
6.다음과 같은 형태소 결합에서 경음화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것은? 1)
1)졸+다 2)부엌+과 3)밭+도 4)깎+다
7.다음 보기 중 음운 변동의 유형이 다른 것은? 1)앉다 2)밟다 3)않다 4)젊다 3)
8.다음 보기 중 음운 탈락 현상이 일어난 것은? 1)엷어서 2)솟고 3)흐르면 4)사니 4)
9.다음 보기 중 음위 전환(전위) 현상이 일어난 것은 어느 것인가? 1)각하 2)놓고 3)삽니다 4)보름달 2)
10.국어사에서 원순모음화가 일어난 시기는? 1)고대국어 2)중세국어 3)근대국어 4)현대국어 3)
11.중세국어에서 변별적 기능에 관여하던 음소로 볼 수 없는 것은? 1)ㆆ 2)ㅿ 3)ㅸ 4)ㆍ 1)
12.중세국어에서 단어의 의미분화에 관여하지 않은 운소는? 1)평성 2)상 3)거 4)입성 4)
13.다음 보기 중 오직 하나의 상관쌍만을 이루는 음소는 어느 것인가? 1)/ㅈ/ 2)/ㅅ/ 3)/ㅂ/ 4)/ㄷ/ 2)
14.변별적 기능과 관련지어 볼 때 언제나 불변 대립을 이루는 것끼리 짝지어진 것은? 1)
1)/n/:/m/ 2)/s/:/t/ 3)/p/:/m/ 4)/l/:/n/
15.한 음소의 자유 변이음이면서 등적 분포를 이루는 것끼리 짝지어진 것은? 2)
1)[b]와[β] 2)[w]와[ч ] 3)[s]와[∫] 4)[l]과[λ]
16.한 음소의 상보적 분포를 이루는 조건 변이음끼리 짝지어진 것은? 4)
1)[ts]와 [t∫] 2)[k]와 [q] 3)[h]와 [d]
17.국어의 음성 규칙에 어긋나는 것은? 3)
1)/ㄱ/는 어두에서는 무성음으로, 유성음 사이에서는 유성음으로 실현된다. 2)/ㄴ/가 어중의 [i]앞에 나타나면 구개음으로 실현된다.
3)/ㄹ/는 모음 아래에서 [r]로 실현된다. 4)/t∫/는 유성음 사이에서 유성음으로 실현된다.
18.국어의 음절구조에 맞지 않는 것은?(V:모음, C:자음) 1)V형 2)CV형 3)CVC형 4)VCC형 4)
19.국어의 음절의 경계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1)음절의 경계에서는 자음이 세 개까지 허용된다. 2)모음과 모음이 이어나면 두 모음 사이가 음절의 경계가 된다.
3)모음 사이에 자음이 하나가 있으면 그 자음은 둘째 음절에 연결된다. 4)모음 사이에 자음이 두 개가 연결되면 음절의 경계는 두 자음 사이가 된다.
20.「훈민정음」에서 舌縮而聲深은 어떤 모음의 음가를 설명한 것인가? 1)ㅏ 2)ㆍ 3)ㅡ 4)ㅣ 2)
21.다음 보기에서 원순 전설 반 고모음인 것은? 1)[y] 2)[o] 3)[u] 4)[Φ] 4)
22.다음 보기에서 무기 무성 치경 마찰음인 것은? 1)[t] 2)[s] 3)[θ] 4)[n] 2)
23.다음 단어의 변화 중 유추작용과 관계가 깊은 것은 어느 것인가? 1)
1)알오>알고 2)울에>우레>우뢰 3)다>다>같다 4)복>곱>배꼽
24.모음과 모음이 이어나는 경우 자음을 그 사이에 첨가하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 한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이화작용 2)모음충돌회피 3)강화작용 4)민중어원 2)
25.「훈민정음」에서 ‘ㅑ與ㅏ同而起於’(ㅑ는 ㅏ와 같되 ㅣ에서 일어난다)는 현대적 관점에서 보면 어떠한 언어 사실을 설명한 것인가?
‘ㅑ의 발음이 ㅣ의 발음 위치에서 시작되어 ㅏ의 발음 위치에서 끝난다’는 뜻이므로 이는 ㅑ가 단모음이 아니라 이중모음임을 설명한 것이다.
26.‘상관쌍’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두 음소가 유무 자질의 차이로 대립을 이루면서, 이러한 유무대립이 다른 음소들 사이에서도 성립하는, 곧 비례적인 대립이 가능한 경우 이 두 음소를 “상관쌍‘이라고 한다.
27.음성의 변별적 자질과 음소의 변별적 자질은 어떻게 다른가?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국어의 두 음성 [k], [g]는 전자는 무성음이고 후자는 유성음이다. 이러한 음성자질로 두 음성이 구별되지만 이러한 두 음성의 자질이 단어의 의미 변별에는 아무런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 따라서 음성의 변별자질 중 단어의 의미 변별에 관여할 수 있는 자질만이 음소의 변별자질이 된다고 하겠다.
28.‘음운 변동’과 ‘음운 변화’의 차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형태소가 결합될 때 그 형태소 경계에서 한 음소가 다른 음소로 바뀌는 경우(먹는→멍는), 이를 ‘음운 변동’이라 하며, 한 음소가 역사적 과정에서 전혀 다른 음소로 바뀌는 경우(아ㅿ>아우)이를 ‘음운 변화’라 한다.
29.다음 중 파열음(폐쇄음)끼리만 모아 놓은 것은? 1)k, g, t, b 2)k, ŋ, g, s 3)ts, x, h, d 4)f, m, l, ∫ 1)
30.다음 중 마찰음끼리만 모아놓은 것은? 1)dz, t, z, n 2)m, β, f, ç 3)s, x, θ, ∫ 4)ʒ, θ, v, r 3)
※다음 중 유성 자음끼리만 모아놓은 것은?(3~4)
31.1)d, β, ð, r 2)s, g, v, m 3)dz, Ф, l, h 4)d, ts, β, r 1)
32.1)f, d, z, ŋ 2)g, z, n, ʒ 3)l, s, Φ, ð 4)d, ts, β, r 2)
※다음 중 무성자음끼리만 모아놓은 것은?(5~6)
33.1)ts, x, t, s 2)g, θ, l, p 3)f, d, β, θ 4)Ф, m, k, t 1)
34.1)h, ð, ʒ, x 2)g, l, s, f 3)ð, z, t∫, q 4)k, s, p, t 4)
35.다음 중 파찰음이 아닌 소리는? 1)ts 2)∫ 3)dz 4)t∫ 2)
36.다음 중 공명음이 아닌 것은? 1)m 2)ŋ 3)n 4)l 4)
※다음 중 조음위치가 다른 소리는?(9~10)
37.1)d 2)ʒ 3)t 4)ts 3) 38.1)ɨ 2)i 3 )y 4)e 2)
※다음 중 조음 방식이 다른 소리는?(11~12)
39.1)k 2)t 3)s 4)p 3) 40.1)∫ 2)Ф 3)x 4)g 3)
41.다음 중 원순모음끼리만 모아 놓아 것은? 1)y, ʌ, e, u 2)ɛ, ø, ə, ɔ 3)ɔ, y, ø, u 4)a, u, y, ʌ 3)
42.다음 중 전설모음끼리만 모아놓은 것은? 1)y, æ,e, ø 2)i, u, æ, ə 3)ə, I, o, ʌ 4)ɔ, ə, ɛ, e 1)
43.다음 자음 중 유음끼리만 모아놓은 것은? 1)R, ɾ, l, r 2)ŋ, l, G, N 3)n, ŋ, m, l 4)β, v, r, l 1)
44.다음 중 상승적 이중모음이 아닌 것은? 1)ja 2)ow 3)wə 4)jo 2)
45.다음 중 성대에서 나는 파열음은? 1)ʔ 2)Ф 3)q 4)h 1)
46.다음 중 무기 유성 치경 마찰음은? 1)n 2)s 3)z 4)∫ 3)
47.다음 중 무기 유성 치경 구개 파찰음은? 1)ʦ 2)ʧ 3)ʤ 4)ʣ 4)
48.다음 중 연구개 비음은? 1)k 2)n 3)r 4)ŋ 4)
49.다음 중 유성 양순 마찰음은? 1)x 2)β 3)Ф 4)ð 2)
50.다음 중 비원순 중설 반 고모음은? 1)y 2)ɨ 3)ə 4)u 3)
51.다음 중 원순 후설 고모음은? 1)u 2)ɨ 3)ø 4)o 1)
52.다음 중 문장이나 구와 연관되는 초분절소는? 1)성조 2)억양 3)음장 4)강세 2)
53.음성기관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발동부(발성기관), 발성부(발성기관), 조음부(조음기관), 공명부(공명기관)
54.단어의 의미 변별에 관여하는 초분절소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성조(고저), 강세(강약), 음장(장단)
55.자음을 정의하여라. 구강(입안)의 어떤 자리에서 공기의 흐름이 장애를 받아 정지되거나 협착을 받으면서 만들어지는 음성
56.모음의 분류 기준은 무엇인가? (입술의)원순유무, (개구도의) 고저, (혀의)전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