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학사자료

문학비평론4

순례 2012. 12. 12. 07:22

1.60년대 순수참여론에 영향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는 70년대 문학론의 하나는?                            2)

1)전통문학론     2)리얼리즘론     3)혁명문학론     4)모더니즘론

 

2.문학비평의 특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4)

 1)분석적이며 논리적이어야 한다. 2)객관성보다는 주관성을 토대로 한다. 3)궁극적으로 해석의 차원에 속한다. 4)작품내용이 지닌 객관적 측면에 대한 분석이 과제이다.

 

3.문학작품의 수용에 있어서 독자가 가지는 중요성을 ‘기대지평’이라는 개념을 통하여 강조한 이는 누구인가? 

1)야우스     2)볼프강 이저     3)홀랜드     4)바인리히                                                           1)

 

4.비평의 장르적 전문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개화기에 성행한 비평형태는?                              2)

1)예술주의 비평     2)서. 발문 비평     3)분석 비평     4)주지주의 비평

 

5.문예비평의 본질적 기능을 ‘예술작품의 해명과 취미의 교정’에 둔 이는?                                  2)

1)E. D. Hirsch     2)T. S. Eliot     3)R. Well다     4)S. N. Grebstein

 

6.정신분석학이 문학에 끼친 영향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1)작품을 작품자체로 보는데 도움을 줌                              2)실리주의비평이나 원형이론에 영향을 끼쳤다

3)무의식의 영역을 탐구하여 문학연구와 비평의 폭 넓힘       4)인간에 대한 총체적 이바지 이해

 

7.작품창작에 임하는 작가의 창작의도가 그 작품의 의미와 직결되는 것은 아니다는 것으로 역사주의비평이 추구하는 작가의 창작의도에 대한 연구를 비판하는 이론은?                                                                                                                               2)

1)감동의 오류      2)의도의 오류      3)모호성      4)아이러니                                                 

 

8.역사전기적 비평의 장점으로 볼 수 있는 것은?                                                                   4)

1)문학작품의 출처에 대한 예비적 조사가 수단인 동시에 목적이 됨  2)작품에 대한 지식이 자족적이 됨 

3)작품의 과거성에 관심을 집중시킴                                           4)작품의 총체적 특질과 작가의 작품형상화 과정을 밝힘

 

9.신비평의 형성요인과 관계없는 사항은?                                                                            1)

1)원형비평의 한계점에 대한 비판에서부터 비롯되고 있다.        2)작품을 예술적 형태 내지 구조로서 이해하려는 움직임 속에서 성장하기 시작한다.

3)전통적인 전기적 접근과 서지주석적인 방법에 대한 강한 회의 속에서 제기되고 있다.                4)남부라는 문화적 배경이 근저에 작용하고 있다.

 

10.동국시의 혁명을 주창하여 민족시론 수립에 이바지한 개화기의 비평은?                               3)

1)「문사와 수양」     2)「조선의 문학」     3)「천희당 시화」     4)「문학에 대한 신연구」

 

11.형식주의 비평가들의 주요관점이라 할 수 없는 것은?                                                         3)

1)작품의 외적인 사항인 시대나 배경 등을 적극 배제하도록 한다.   2)작품을 작품자체로 보아야 한다. 

3)문학작품은 역사성을 떠나서 논의될 수 없다.                           4)문학작품의 형식적 완결성과 치밀성을 증명하고자 한다.

 

12.마르크스와 엥겔스가 새로 부여한 문학의 결정요소는?      1)경제  2)종족  3)시대  4)환경        1)

 

13.주로 의식적이고 외계에 작용하며 현실의 원칙에 따라 인간을 사회에 적응시키려고 하는 것은? 1)자아 2)초자아 3)무의식 4)의식 1)

 

14.프라이는 장르발생 이전의 이야기문학-미토스를 자연의 주기에 일치시켜 해명하였다. 그 연결이 잘못된 것은?

1)봄의-희극    2)가을의-시    3)여름-로만스    4)겨울-아이러니와 풍자                                    2)

 

15.다음( )에 들어갈 내용으로 맞는 것은?

김억의 프랑스상징주의 시론의 번역과 소개는 주로 ( )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 )이 라는 글에서 ‘상징파’라는 개념을 설명하고 있다.

 1)태서문예신보-문예비평     2)매일신보-프랑스시단       3)태서문예신보-프랑스시단     4)매일신보-문예비평

 

16.다음 중에서 연결이 잘못된 것은?                                                                                   2)

1)출생단계-로만스와 찬가 및 광상곡의 원형    2)승리 단계-희극,비극,전원시의원형   3)죽음단계-엘레지의원형    4)해체단계-풍자문학의원형

 

17.1910년대 상징주의 시론의 도입과 무관한 이는?      1)김억   2)주요한   3)황석우   4)김기림      4)

 

18.다음 중 신비평의 특성과 관련되는 것은?       1)정독   2)전기연구   3)컴플렉스   4)원형          1)

 

19.문학의 예술성을 강조한 순수시론을 내세운 박용철과 김영랑이 속한 문학적 유파는?              1)

1)시문학파     2)해외문학파     3)청록파     4)프로문학파

 

20.문학의 사회적 효용성을 부정적인 것으로 판단하면서 시인추방론을 제기한 이는?                   3)

1)비코     2)아리스토텔레스     3)플라톤     4)헤르더

 

21.유물론적 예술관을 비판함과 함께, M.아놀드와 W.페이터의 영향을 통하여 인상주의비평을 확립한 이는?  

1)김문집       2)최재서       3)김환태       4)김기림                                                               3)

 

22.다음 중 이어령의 비평집이 아닌 것은?                                                                           1)

1)『언어의 파편』    2)『저항의 문학』    3)『지성의 오솔길』    4)『흙속에 저 바람 속에』

 

23.‘criticism’이란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비평가는?                                                            1)

1)포우프     2)랜섬     3)아리스토텔레스     4)호라티우스

 

24.주지주의 문학이론에 바탕을 두고 존재론적인 지평까지 자신의 관심을 확대해나간 비평가로서 「시인의 역설」을 쓴 이는? 

1)이어령      2)김성욱      3)고석규      4)김우종                                                                  3)

 

25.M.H.에이브럼즈가 제기한 비평의 네 가지 형태를 적으시오.  

첫째는 대상에 대한 재현의 진실성 정도에 중심을 둔 모방비평, 둘째는 작품이 독자에게 주는 영향의 면에 치중한 효용비평, 셋째는 작품은 작가의 상상력과 감정의 표현이라는 측면을 강조한 표현비평, 넷째는 작품을 자족적인 것으로서 내재적 기준에 의해 판단하고자하는 객관적 비평이다.

 

26.신비평의 성립과 그 전개과정을 설명하시오.

신비평은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1920년대에 발생하여 30년대를 통하여 이론적 발전을 거치면서 40.50년대에 성행하였다. 이 신비평은 아리스토텔레스와 칸트가 남긴 형식주의 미학을 계승하였다. 신비평초기에 중요한 역할을 한 이론가는 엘리어트와 리차즈이며 랜섬의 비평집 「신비평」으로부터 이 신비평이라는 용어가 일반화되었다.

 

27.구조주의 비평이 바탕으로 하고 있는 방법론적 특성을 간단히 설명하시오.

구조주의비평의 방법론은 소쉬르의 구조언어학이라는 언어학적 모델을 원용하여 문학작품을 포함한 모든 문화적 현상과 그 산물을 하나의 사회제도 혹은 의미체계 속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28.50년대 전후세대 비평의 흐름을 간단히 적으시오.

전후비평은 이념대립과 전쟁을 배경으로 하여 등장하는데 무엇보다 뚜렷한 것은 이데올로기에 대한 거부의식과 단절의식이다. 이것은 이어령에 의하여 전통부정론의 형식으로 제기되었으며 여기에 대하여 정태용 등은 전통옹호론을 펼쳤다. 이와 함께 실존주의 논의를 동반한 휴머니즘론이 제기되었으며 신비평의 방법을 수용한 분석비평이 등장하였다.

 

29.상상력과 몽상을 크게 강조하면서 신화 원형적 비평을 전개한 이는?                                     2)

1)리샤르      2)바슐라르      3)프라이      4)테이트

 

30.( )안에 들어갈 말이 순서대로 맞는 것은?                                                                         3)

카프는 최초의 프로문학단체 ( )와 김기진 등이 조직한 ( )의 통합으로 이루어졌다.

1)염군사-신간회     2)조선문학동맹-신간회     3)염군사-파스큘라     4)조선문학동맹-파스큘라

 

31.비평행위의 첫 단계라고 할 수 있는 ‘해석’의 단계에서 제기되는 문제로 볼 수 없는 것은?

1)원본의 확정     2)정서적 이해     3)역사적 지식의 요구     4)전기적 자료의 구비                      2)

 

32.50년대 전후비평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진 ‘휴머니즘 논의’의 정신적 배경으로 볼 수 있는 것은? 

1)실존주의     2)모더니즘     3)리얼리즘     4)상징주의                                                         1)

 

33.다음 중 인상비평가로 볼 수 없는 이는?       1)페이터   2)와일드   3)떼느   4)러스킨                3)

 

34.50년대 전후에 등장하기 시작하는 실존주의 의식과 무관한 항목은?                                      3)

1)장 뽈 싸르트르     2)장용학의 「요한시집」    3)앙리 바르뷔스     4)김동리의 「실존무」

 

35.평가의 기준이 가장 중요한 사항으로 대두되는 비평의 궁극적 단계는?                                 1)

1)판단       2)감상       3)해석       4)교정

36.다음( )안에 알맞은 말을 고르면?       1)문화    2)인간    3)관습    4)제도                             1)

역사적 비평가는 작품을 제작된 시대의 ( )에 대한 표현으로 본다.

 

37.1920년대 클라르테운동의 소개와 함께 경향문학을 주장한 이는?                                          4)

1)이기영      2)임화      3)양주동      4)김기진

 

38.레온 에델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제시한 전기구성방식은?                                                3)

1)포괄적 연대기 2)문화적 초상화 3)유기적 전기 4)일대기적 전기

 

39.‘언어는 실질이 아니라 형식이다’는 관점 속에 내포되어 있는 강조 점은?                                4)

1)언어의 매체성    2)언어의 관계성     3)언어의 개념     4)언어의 체계성

 

40.해외문학파와 무관한 것은?                                                    3)

 1)1926년 동경에서 조직되었다.                     2)초기구성원은 깁진섭, 김온, 손우성, 이하윤, 정인섭 등이었다.

3)민족문학파보다는 프로문학파와 가까웠다.    4)기관지《해외문학》을 발간하였다.

 

41.구조주의비평이 가지는 한계라고 볼 수 없는 것은?                                                            2)

1)구조주의비평은 방법론으로서의 성격이 더욱 강하다.  2)작품 전체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간의 관계를 해명하지 못한다.

3)공시적 관점에 치중하여 역사성을 몰각하고 있다.       4)구조주의에서 상정하는 ‘구조’의 개념은 추상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42.애국계몽기의 효용론적 문학관을 벗어나, 문학을 하나의 독자적인 예술영역으로 인정하고자 한 이는? 

1)이광수     2)신채호     3)김동인     4)양주동                                                                      3)

 

43.개성과 보편성이 함께 융합된 것으로서 휴머니즘을 특별한 주류가 없는 시대의 문학 이념으로 제시한 이는 누구인가? 

1)김기림       2)백철       3)김오성       4)이헌구                                                                   2)

 

44.예술이란 궁극적으로 물질적 현존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전망으로 향한 비평은?                     1)

1)마르크스주의비평      2)현상학적비평      3)실존주의비평      4)해석학적비평

 

45.해방이후인 1946년 조연현, 김동리, 서정주 등에 의하여 결성된 소장파 우익문학단체는?

1)조선문학건설본부     2)전국문필가협회      3)청년문학가협회     4)조선문학가동맹                 3)

 

46.테마비평의 특성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4)

 1)해설이 아니라 묘사적이다.   2)방법론이 유동성을 띤다.    4)작가의 전기가 중심주제이다.    3)비평가의 기질, 감수성, 성격 등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47.신화원형적 비평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어느 것인가?                                         1)

1)특정사회나 집단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한 보편적 이론이다.       2)신화의 이론이나 집단 무의식론에 근거를 두고 있다.

3)대표적인 비평서로는 프라이의 『비평의 해부』를 들 수 있다.   4)문학작품에 사용된 언어의 원형적 의미에 주목한다.

 

48.‘원형’의 개념을 제시하여 신화원형 비평의 방법론을 확립한 이는?                                       3)

1)프레이저      2)레비스트로스      3)칼 융      4)프로이트

 

49.단재 신채호의 ‘소설개혁론’이 지니는 문학적 의미와 관련이 적은 것은?                                 2)

1)주체적인 입장에서 전통문학의 형식을 극복해보고자 하는 의욕을 보여주었다.  2)단재의 소설개혁론은 새로운 문학형식으로서의 근대적인 소설의 창조에까지 이르렀다.

3)국문학으로서의 민족문학에 대한 각성은 국어국문학이 우리 문학의 근본요건임을 재인식 시켜준 계기가 됨

4)소설개혁에 대한 주장은 예술을 위한 것이 아니라 구국계몽을 위한 것.

 

50.30년대 중반 무렵의 비평계를 지배했던 주류의 하나로 볼 수 있는 것은?                                4)

1)역사주의 비평      2)형식주의 비평      3)심리주의 비평      4)주지주의 비평

 

51.골드만의 방법론적 틀이라 할 수 있는 ‘발생론적 구조주의’이론과 무관한 것은?                       4)

1)고전적 마르크스주의    2)루카치의「소설의 이론」   3)장 피아제의 구조적 모델    4)모더니즘

 

52.다음 중에서 주제비평가에 해당되지 않는 이는?                                                                3)

1)조르쥬 뿔레     2)장 삐에르 리샤르     3)레이몬드 윌리암스     4)마르셀 푸루스트

 

53.역사주의비평의 특성에 대하여 적으시오.

가장 전통적인 비평의 방법, 구체적인 형태로서는 대상 작품의 텍스트 확정문제에 초점을 둔 원전비평과 작가의 전기적 자료를 통하여 작품이 가지는 의미를 탐구하는 전기비평을 들 수 있다. 이 비평은 작품 이해의 완전성과 정확성을 기할 수 있으며 개별 작품에 대한 폭을 넓혀준다.

 

54.최재서의 ‘풍자문학론’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시오.

일제의 압박과 파시즘화가 강화되는 30년대 후반의 문학적 침체를 극복하기 위한 모색 속에서 제기된 것으로 작가의태도(수용적, 거부적, 비평적 태도)와 기법을 강조하고, 풍자라는 수단을 통하여 인간과 사회비판을 추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55.‘애매성’ 혹은 ‘모호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엠프슨의 ‘모호성의 일곱 가지 유형’에서 제시된 개념으로서 문학적 언어가 가지는 특수한 성격을 지적하고자 한 것이다. 이것은 의미자체가 하나로 한정되지 않고 서로 간섭하여 확장되고 굴절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서 풍부한 의미의 생성에 이바지한다.

 

56.객관적 상관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엘리어트에 의하여 제시된 개념으로서, 작품 속에서 어떤 특별한 정서를 자아낼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사물과 상황을 말한다.

 

문학비평론4.hwp

문학비평론4.hwp
0.04MB

'독학사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학비평론6  (0) 2012.12.12
문학비평론5  (0) 2012.12.12
문학비평론3  (0) 2012.12.10
문학비평론2  (0) 2012.12.10
문학비평론1  (0) 2012.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