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학사자료

한국문학사4

순례 2012. 12. 9. 08:16

1.‘향가’에 반영된 사상으로 가장 두드러진 것은?     1)샤머니즘   2)불교   3)도교   4)유교             2)

 

2.인간은 어떠한 고난도 넘어설 수 있고 또 넘어야 한다는 민중의 낙관적 상상력이 강하게 반영된 것은?   3)

1)신화       2)전설       3)민담       4)무가                                  

 

3.고려조 비평문학을 대표하는 여러 비평서 가운데 시기적으로 가장 이른 것은?                         1)

1)파한집     2)보한집     3)역옹패설     4)백운소설

 

4.고려속요는 분연체의 시가이다. 다음 중 그러한 특징이 뚜렷하지 않은 작품은?                         4)

1)동동      2)청산별곡      3)서경별곡      4)상저가

 

5.한국적 정서를 잘 드러낸 「송인」의 작가는?      1)정지상   2)김부식   3)이규보  4 )김황원       1)

 

6.가전체 소설에 해당하지 않는 작품은?                                                                               3)

1)죽부인전      2)정시자전      3)태평한화골계전      4)청강사자현부전

 

7.자신의 정신적 방황과 고민을 「애추석사」를 지어 노래한 고려 말 ‘삼은’의 한 사람은?             1)

1)이숭인       2)이색       3)정몽주       4)윤여형                                    

 

8.공민왕 때 신돈을 규탄하다 죽을 고비를 겪고 시골로 은거했다가 젊은 나이로 죽은 이존오의 시조는?    1)

1)구름이 무심탄말이~    2)백설이 잦아진 골에~    3)녹이상제 살지게 먹여~    4)오백년 도읍지를~

 

9.다음 중 경기체가 작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4)

1)한림별곡      2)죽계별곡      3)정동방곡      4)관서별곡

 

10.15C 관인파 문학의 대표자로서 용사를 중시한 사람은?                                                       2)

1)김종직       2)서거정       3)남효온        4)신숙주

 

11.사육신의 시조 작품 중 “백설이 만건곤할 제 독야청청 하리라”라는 구절을 지어 남긴 사람은?    1)  

1)성삼문      2)박팽년      3)유응부      4)이개                               

 

12.다음 중 시기적으로 가장 늦게 창작된 것은?    1)상춘곡  2)관동별곡  3)관서별곡  4)면앙정가    2)

 

13.김진형에 의해 지어진 유배가사는?      1)북천가    2)만언사    3)북관곡    4)연행가                1)

 

14.정철의 가사작품 중 번화한 세계에서 멀리 떨어진 적막강산에 묻혀 살면서도 즐거움을 누릴 수 있음을 화려한 문체로 표현한 작품은?    4)

1)관동별곡      2)사미인곡      3)속미인곡      4)성산별곡

 

15.연암소설 중 『열하일기』(「옥갑야화」)에 실려 있는 것은?                                               2)

1)양반전       2)허생전       3)호질       4)열녀함양박씨전

 

16.「춘향전」에서 허위의식에 빠진 양반풍자를 하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하는 인물은?                  4)

1)이도령       2)춘향       3)변학도       4)방자

 

17. 다음 중 ‘구토지설’에 근거한 작품은?     1)흥부전   2)심청전   3)장끼전   4)토끼전                 4)

 

18.20C초 도입된 심리이론이 문학비평방법론으로 전용된 것으로, 문학 작품에 나타난 내면세계를 심리학적 방법으로 유형화하는데 가장 두드러진 성과를 이룩한 사람은?                     1)플로베르     2)모파상     3)제임스조이스     4)헤밍웨이                              3)

 

19.최초의 근대적 장편소설「무정」은 신문에 연재되었던 소설이다. 어떤 신문인가?                    3)

1)동아일보      2)독립신문      3)매일신보     4)조선일보

 

20.다음 농촌소성 가운데 《동아일보》가 중심이 되어 벌인 브나르도 운동의 영향을 가장 강하게 드러내는 작품은?   4)

1)흙     2)모범경작생     3)제1과 제1장     4)상록수               

 

21.1920년대 낭만주의 시운동의 중추적 역할을 한 동인지는?     1)소년  2)창조  3)개벽  4)백조      4)

 

22.KAPF계 작품과 작가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2)

1)김기진-붉은 쥐     2)조명희-광란     3)이상화-가상     4)송영-늘어가는 무리

 

23.지주이자 고리대금업자인 윤직원 영감의 집에서 일어난 하루 동안의 일을 풍자적 수법을 통해 다루면서 친일 보수세력의 그릇된 의식에 대해 비판한 채만식의 작품은?                                  1)탁류    2)태평천하    3)운수 좋은 날    4)무화과                           2)

 

24.민족고유의 전통적인 민중 정서에 기반한 민요풍의 서정시를 지은 작품은?                            2)

1)김억       2)김소월       3)박종화       4)한용운

 

25.천군소설에 대해 간단히 서술하시오.  

심성을 의인화한 소설. 심(心)이 천군이 되어 몸에서 일어나는 성정의 사건을 다룬다. 김우옹이 남명 조식의 신명사원에서 그 내용을 취하여 지은 것이 발상. 임제의 「수성지」는 경(敬)으로 마음의 갈등을 극복하는 것이 아니라 술로 다룬다는 점에서 다른 작품과 대비된다.

 

26.단가로 부리던 3장 6구의 단형 시가를‘시조’라고 처음 명명하여 후대에 그 명칭이 굳어지게 한 사람은 누구인가?     이세춘

 

27.1906년 50회에 걸쳐《만세보》에 연재된 장편으로 청일전쟁의 격전 후 피비린내 나는 모란봉의 참상을 시발점으로 하여 여주인공 옥련의 기구한 운명을 그린 소설은?

                                                                                                     이인직의 「혈의 누」

 

28.최초의 국문 소설은?                                                                       허균의 「홍길동전」

 

한국문학사4.hwp

한국문학사4.hwp
0.02MB